https://youtu.be/ha4s9UTfqbM

화성학-음악이론-릴레이티드-II-코드-화성악-코드스케일-기초실용음악화성학

릴레이티드 II-7이란 뭘까요?

IIm7-V7-IM7 진행처럼

세컨더리, 익스텐디드, 섭스티튜트에 적용하는 II-7입니다.

화성학-음악이론-릴레이티드-II-코드-화성악-코드스케일-기초실용음악화성학

어떨 때는 다이아토닉 코드랑 겹칠수도 있는데

이를 릴레이티드 II-7(Related IIm7)이라고 합니다.

화성학-음악이론-릴레이티드-II-코드-화성악-코드스케일-기초실용음악화성학

익스텐디드 도미넌트에 릴레이티드 II-7을 적용하면 이런 형태가 될 수 있습니다.

이 때 도미넌트 사이에 껴있다고 해서

인터폴레이티드 IIm7(Interpolated IIm7)이라고 합니다.

화성학-음악이론-릴레이티드-II-코드-화성악-코드스케일-기초실용음악화성학

섭스티튜트 도미넌트의 릴레이티드 II-7은 여러 형태가 나올 수 있습니다.

화성학-음악이론-릴레이티드-II-코드-화성악-코드스케일-기초실용음악화성학

코드 스케일은 뭘 쓰면 될까요?

도리안을 쓰면 됩니다.

화성학-음악이론-릴레이티드-II-코드-화성악-코드스케일-기초실용음악화성학

만약 듀얼 펑션이라면 다이아토닉 코드스케일을 써도 됩니다.

 

전체 영상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youtu.be/ha4s9UTfqbM

 

https://youtu.be/AEhMSvaUofU

 

섭스티튜트 도미넌트란 쉽게 반음 내려가는 도미넌트 코드라고 보면 됩니다.

화성학-음악이론-섭스티튜트-섭스티튜드-화성악-코드스케일-심화실용음악화성학

이 진행이...

화성학-음악이론-섭스티튜트-섭스티튜드-화성악-코드스케일-심화실용음악화성학

이렇게 되는 것이죠.

화성학-음악이론-섭스티튜트-섭스티튜드-화성악-코드스케일-화성학교재추천

 

물론 세컨더리 도미넌트에서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몇가지 주의해서 써야하는 것도 있습니다.

화성학-음악이론-섭스티튜트-섭스티튜드-화성악-코드스케일-화성학교재추천

섭스티튜트 도미넌트는 왜 해결감이 있을까요?

화성학-음악이론-섭스티튜트-섭스티튜드-화성악-코드스케일-substitute

이는 도미넌트 코드의 특성을 활용해 변화시킨 것입니다.

화성학-음악이론-섭스티튜트-섭스티튜드-화성악-코드스케일-substitute

 

분석할 때는 subV7과 점선으로 표기하면 됩니다.

화성학-음악이론-섭스티튜트-섭스티튜드-화성악-코드스케일-substitute

세컨더리의 섭스티튜트 도미넌트일 경우 subV7/X 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화성학-음악이론-섭스티튜트-섭스티튜드-화성악-코드스케일-substitute

 

예시를 통해 직접 사운드를 들어보세요.

 

전체 영상은 다음 링크에서 시청 가능합니다.

 

https://youtu.be/AEhMSvaUofU

 

미디강의-MIDI-작곡-큐베이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포커스라이트-가상악기-VST-VSTi

미디가 뭘까요?

미디강의-MIDI-작곡-큐베이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포커스라이트-가상악기-VST-VSTi

 

미디는 신디사이져 같은 전자악기의 규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미디강의-MIDI-작곡-큐베이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포커스라이트-가상악기-VST-VSTi

이것은 단순히 신호체계일 뿐이고 이를 연주할 수 있는 악기(음원)가 필요합니다.

미디강의-MIDI-작곡-큐베이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포커스라이트-가상악기-VST-VSTi

 

초기의 신디사이져에 미디를 접할 때는 내장된 악기가 제각각이었습니다.

 

이를 규격화 하기위해 제네럴 미디(GM)이 정해졌습니다.

미디강의-MIDI-작곡-큐베이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포커스라이트-가상악기-VST-VSTi

 

각각의 채널에 악기 순서를 정해 할당합니다.

 

 

하지만 그 이후로 여러 악기사에서 독자적인 규격을 만들게 됩니다.

신디사이져는 건반형, 모듈형, 가상악기(VSTi)도 있습니다.

 

VSTi는 스테인버그에서 만들었으며 대부분이 이 규격을 따르고 있습니다.

 

 

미리보기 영상입니다. 전체 영상은 하단의 링크를 참고하세요.

미디강의-MIDI-작곡-큐베이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포커스라이트-가상악기-VST-VSTi

https://youtu.be/vTS1Yt08wz8

 

컴퓨터 작곡? 미디? 가상악기? 전혀 모른다면 봐야할 영상 - 개념 정리

컴퓨터로 작곡을 해보고 싶으신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미디(MIDI)와 신디사이져(신스, 모듈, 가상악기VSTI)에 대해 개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미디 #컴퓨터작곡 #가상악기

youtu.be

 

미디강의-MIDI-작곡-큐베이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연결방법-스피커-XLR-55케이블

오디오 인터페이스와 스피커를 연결하는 방법과 다양한 케이블 중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는지

기초적인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

https://youtu.be/_W8e5yqpFDo

 

스피커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어떻게 연결해요? - 밸런스, 언밸런스와 케이블 연결 방법

초보를 위한 밸런스, 언밸런스의 차이와 오디오 장비 연결 방법을 소개합니다. #오디오인터페이스 #스피커 #밸런스언밸런스

youtu.be

 

미디강의-MIDI-작곡-큐베이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연결방법-스피커-XLR-55케이블

모니터링 스피커는 대부분 액티브 스피커입니다.

가끔 패시브 스피커 제품도 있지만 파워앰프가 따로 필요합니다.

가정용 스피커가 있는데 파워 앰프가 없는 상황이라면

그냥 스피커를 따로 사는 것이 속 편할 수도 있습니다.

 

미디강의-MIDI-작곡-큐베이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연결방법-스피커-XLR-55케이블

 

케이블은 언밸런스 그리고 밸런스가 있습니다.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미디강의-MIDI-작곡-큐베이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연결방법-스피커-XLR-55케이블

언밸런스의 한 종류인 55 케이블 커넥터(TS)는 Tip, Sleeve가 있습니다.

Tip 부분은 신호, Sleeve 부분은 접지를 담당하여 신호를 전달합니다.

 

미디강의-MIDI-작곡-큐베이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연결방법-스피커-XLR-55케이블

밸런스 케이블인 TRS 케이블은 신호를 두개 보낼 수 있습니다.

중간 부분(Ring)은 역위상된 신호를 보내게 됩니다.

미디강의-MIDI-작곡-밸런스-언밸런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연결방법-스피커-XLR-55케이블

 

서로 다른 케이블을 꽂아도 소리는 나지만

밸런스는 밸런시 기기끼리, 언밸런스는 언밸런스 기기끼리 연결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미디강의-MIDI-작곡-밸런스-언밸런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연결방법-스피커-XLR-55케이블

포커스라이트의 스칼렛 Scarlett 2i2 제품은 밸런스와 언밸런스를 모두 연결할 수 있습니다.

잘 모른다면 메뉴얼을 확인하면 됩니다.

미디강의-MIDI-작곡-밸런스-언밸런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연결방법-스피커-XLR-55케이블

 

여러 제품을 예를 들어서 설명합니다.

미디강의-MIDI-작곡-밸런스-언밸런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연결방법-스피커-XLR-55케이블

예를 들어 Britz BR-1000A 같은 모델은 어떨까요?

한쪽은 TS, 한쪽은 RCA로 연결하면 될 것 같습니다.

미디강의-MIDI-작곡-밸런스-언밸런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연결방법-스피커-XLR-55케이블

혹은 젠더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미디강의-MIDI-작곡-밸런스-언밸런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연결방법-스피커-XLR-55케이블

스테레오와 모노의 개념에 대해서 아시나요?

미디강의-MIDI-작곡-밸런스-언밸런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연결방법-스피커-XLR-55케이블

모노는 하나의 신호를 뜻하고

스테레오는 좌, 우 모노 2개를 뜻합니다.

미디강의-MIDI-작곡-밸런스-언밸런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연결방법-스피커-XLR-55케이블

그래서 이어폰으로 많이 쓰는 3.5 커넥터는  좌, 우 신호를 보낼 수 있습니다.

미디강의-MIDI-작곡-밸런스-언밸런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연결방법-스피커-XLR-55케이블

보통 쓰는 이런 PC 스피커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려면?

미디강의-MIDI-작곡-밸런스-언밸런스-오인페-오디오인터페이스-연결방법-스피커-XLR-55케이블

이런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_W8e5yqpFDo

 

스피커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어떻게 연결해요? - 밸런스, 언밸런스와 케이블 연결 방법

초보를 위한 밸런스, 언밸런스의 차이와 오디오 장비 연결 방법을 소개합니다. #오디오인터페이스 #스피커 #밸런스언밸런스

youtu.be

 

https://youtu.be/XHN3oL5-RMg

영상보기

음악 작업을 컴퓨터로 하고 싶은데
오디오 인터페이스(오인페)를 처음 써보시거나
개념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대해 알아보고 기초적인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Focusrite의 Scallet 2i2로 간단한 시범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운드 카드는 스피커 같은 아날로그 장비와 컴퓨터(디지털)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운드 카드는 메인보드의 기본 장치가 되면서 그 자취가 사라졌습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오인페)는 여러 음향기기나 악기를 연결하고

좀 더 좋은 음질이 되도록 지원합니다.

 

미리보기 영상입니다. 전체 영상은 다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youtu.be/XHN3oL5-RMg

여러 장비는 숫자를 보면 입출력이 얼마나 되는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55케이블(기타케이블)을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물론 XLR케이블(마이크케이블)도 연결 가능합니다.

포커스라이트 스칼렛 2i2(Focusrite Scarllet 2i2)

는 특별히 AIR 버튼이 있습니다. 무슨 기능일까요?

 

 

https://youtu.be/XHN3oL5-RM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