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종지법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다이아토닉 코드에 대해 배웠으면 이 코드는 익숙할 것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설명이 이어집니다.
강진행과 약진행이 뭘까요?
V7 코드는 감 5도로 가장 불안정한 코드입니다.
코드와 조성의 특성을 이해하고
왜 V7 - I의 진행이 많은지 그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직접 시범을 통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정격종지, 변격종지, 반종지, 위장종지에 대해 배울 수 있습니다.
왜 IIm - V7 - I 진행이 많은걸까요?
특히 재즈에서는 II - V7 - I 의 진행이 매우 많습니다.
'음악이론 > 음악이론 (중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달 인터체인지란, Modal Interchange - 화성학, 음악이론 (0) | 2021.09.16 |
---|---|
Releated II-7에 대해 배워봅시다. (종류, 코드스케일, 용법) (0) | 2021.09.16 |
Substitute Dominant(subV7) 섭스티튜트 도미넌트란? (0) | 2021.09.16 |
V7의 얼터드 텐션과 얼터드 스케일(Alterd Tension, Scale) (0) | 2021.03.09 |
F/G가 무슨 코드일까요? 도미넌트 코드의 변형 형태 (Vsus4, IV/V, IIm7/V) (0) | 2021.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