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피엠기타, 해피엠뮤직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셋잇단음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셋잇단음표는 한박을 세개로 쪼갠 것을 의미합니다.
왜 특별한 표기를 사용할까요?
보통 박자는 8분음표, 16분음표 등...
짝수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셋잇단음표 뿐만 아니라 다섯(다섯잇단음표), 일곱(일곱잇단음표) 처럼
소수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셋잇단음표의 세 합은 한 단계 위의 음표와 길이가 같습니다.
물론 온음표도 셋잇단음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위의 두 음표는 당연히 다른 음표인데,
셋잇단 음표를 저렇게 표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직접 한번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영상은 미리보기 영상입니다.
자세한 영상은 다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셋잇단음표를 이용해서 12/8박자를 4/4박자 형식의 악보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음악이론 > 음악이론 (초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텐션코드, 원리와 사운드까지 들어봅시다 (Tension) (0) | 2020.06.29 |
---|---|
다이아토닉 코드(Diatonic Chords) - 화성학, 음악이론 (0) | 2020.06.29 |
[음악이론, 화성학] 메이저, 마이너 스케일(음계) - 원리, 종류, 만드는 법 (0) | 2020.03.07 |
[화성학, 음악이론] 코드의 자리바꿈(전위), 분수코드의 원리 (0) | 2020.01.11 |
[화성학, 음악이론] 다양한 7화음(4화음) 코드 (M7, m7, 7, mM7, m7b5, dim7) (0) | 2020.01.11 |